2025년 2월 6일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개별 기업의 실적 발표에 의해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주요 지수의 변화와 시장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주요 지수 동향
6일(현지 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125.65포인트(0.28%) 하락하여 4만4747.63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그러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22.09포인트(0.36%) 상승하여 6083.57을 기록하며 사흘 연속 상승세를 보였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99.66포인트(0.51%) 증가하여 1만9791.99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기업 실적과 주가 변동
(1) 퀄컴(Qualcomm)과 Arm
반도체 기업 퀄컴의 주가는 3.72% 하락했습니다. 이는 전날의 긍정적인 실적 발표에도 불구하고 올해 라이선스 매출 성장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 때문입니다. Arm 또한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으나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3.34% 하락했습니다.
(2) 포드(Ford)
포드 자동차는 올해 어려운 실적 전망을 발표하며 주가가 7.49% 급락했습니다. 매출과 이익률은 시장 전망치를 초과했으나, 영업이익 전망치가 70억~85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 93억 달러에 못 미치는 결과였습니다.
(3) 필립 모리스(Philip Morris)
담배 회사 필립 모리스는 기대를 웃도는 실적 발표로 주가가 10.95% 급등했습니다. 긍정적인 실적 발표가 시장에 반영된 결과입니다.
(4) 아마존(Amazon)
아마존은 정규장에서 1.13% 상승했으나, 시간외거래에서 2.11% 약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매출이 1877억9000만 달러로 주당순이익(EPS) 1.86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지만, 향후 실적 전망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주요 분석과 투자자 반응
호라이즌 인베스트먼츠의 재커리 힐 수석은 "이번 주 가격 움직임은 개별 기업의 펀더멘털에 집중하는 실적 시즌에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팔라스 캐피털 어드바이저스의 가우라브 말릭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주식 평가가치가 높은 가운데, 상당수의 대형 기업들이 엇갈린 실적을 보고하고 있어 주식시장이 견조한 상승세를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폭탄'에 대한 우려가 다소 가라앉은 듯 보였으나, 시장은 여전히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미국으로 유입되는 불법이민과 마약을 막기 위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수입품에는 기존 관세 외에도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관세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서는 일시 유예됐으나, 중국에는 즉시 시행되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관세가 협상의 수단으로 보고 있으며, 미중 정상 간의 합의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경제 지표와 고용 전망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1만9000건으로 직전 주 대비 1만1000건 증가했습니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보다도 5000건 많은 수치입니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증가한 것은 고용 시장에 일부 압박이 있음을 나타냈으나, 여전히 고용 시장은 양호한 상태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의 시선은 곧 발표될 1월 고용 보고서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난달 비농업 신규 고용이 15만4000건 증가하여 직전월 대비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실업률은 4.1%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채권 및 원자재 동향
미국 국채 수익률은 소폭 상승했습니다.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일보다 1bp 상승한 4.43%를 기록했으며,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2bp 상승한 4.21%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상승은 재무부 장관의 발언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것입니다.
국제유가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트럼프의 석유 생산 확대 의지 확인에 따라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0.42달러(0.6%) 하락하여 배럴당 70.61달러에 거래를 마쳤고, 브렌트유는 0.32달러(0.4%) 하락한 배럴당 74.29달러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와 금리 인하 속도 지연 전망 속 NYSE 혼조세 (0) | 2025.02.12 |
---|---|
트럼프 관세 예고에도 뉴욕증시 상승, 철강ㆍAIㆍ가상자산 강세 (2) | 2025.02.11 |
엔화 강세와 한국 경제, 강달러 방어막 역할 (0) | 2025.02.10 |
미국의 보편 관세 도입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0) | 2025.02.09 |
인플레이션 급등과 상호 관세 발표 영향으로 2025년 2월 7일 뉴욕증시 급락 (0) | 2025.02.08 |
트럼프 관세 정책과 원/달러 환율 (1) | 2025.02.04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금융시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5.02.03 |
2025년 1월 29일 미국 주식시장 주요 동향 (0) | 2025.01.30 |
2025년 1월 28일 미국 주식시장 주요 동향 (0) | 2025.01.29 |
뇌물로 유지되는 부끄러운 대한민국 경제 (0) | 2016.05.1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