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강세의 배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가적인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 부과를 예고했음에도 불구하고, 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며 마감했습니다. 이는 금융시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대해 비교적 안정적인 반응을 보였음을 의미합니다.
주요 지수의 상승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67.01포인트(0.31%) 상승하여 44,470.41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0.45포인트(0.67%) 오른 6,066.4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90.87포인트(0.98%) 상승한 19,714.27에 마감했습니다.
철강 및 알루미늄 관련주 강세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방침은 철강 및 알루미늄 관련 주식의 급등을 이끌었습니다. 클리블랜드-클리프스의 주가는 17.99% 상승했으며, US스틸은 4.79% 상승하였습니다. 뉴코어와 알코아의 주가는 각각 5.65%, 2.21%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상승은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이 현지 투자를 통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에 기인합니다. 상품 분야 컨설팅 업체인 CRU의 분석가 제임스 캠벨은 "관세가 수요를 일시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투자가 들어오면서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알루미늄 가격 전망
알루미늄 수요의 약 80%를 수입에 의존하는 미국 시장에서는, 관세 부과 후에도 중기적으로 가격이 안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JP모건의 분석가팀은 수요 감소와 국내 공급 증가로 인해 알루미늄 가격은 소폭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하였습니다.
반도체 및 대형 기술주의 강세
트럼프의 관세 예고와 딥시크의 충격 완화로 인해, 반도체 및 대형 기술주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엔비디아의 주가는 2.87% 상승했으며, AMD는 2.71% 올랐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도 각각 0.6%, 0.12% 상승했습니다. JP모건의 전략가인 파비오 바씨는 "딥시크와 관세를 둘러싼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식시장은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가상자산 시장의 상승
가상자산 시장도 동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0.9% 상승한 9만7,264.72원에 거래되었으며, 이더리움은 1.1% 상승한 2,669달러에 거래되었습니다.
미국 국채 금리와 원유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큰 변동없이 기간별로 엇갈린 모습을 보였습니다. 뉴욕증시 마감 기준으로, 2년 물 국채 금리는 2bp('bp=0.01%포인트) 하락한 4.283%에, 10년 물 국채 금리는 1bp 상승한 4.504%를 기록했습니다.
국제 유가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이 목표치를 밑돌면서,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1.32달러(1.86%) 상승한 배럴당 72.32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1.21달러(1.62%) 오른 배럴당 75.87달러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러시아의 생산량이 OPEC+ 공급 협정 목표치보다 부족했다는 소식이 유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IG의 토니 시카모어는 "관세 조치가 일부 후퇴하면서 투자자들이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위협을 무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와 금리 인하 속도 지연 전망 속 NYSE 혼조세 (0) | 2025.02.12 |
---|---|
엔화 강세와 한국 경제, 강달러 방어막 역할 (0) | 2025.02.10 |
미국의 보편 관세 도입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0) | 2025.02.09 |
인플레이션 급등과 상호 관세 발표 영향으로 2025년 2월 7일 뉴욕증시 급락 (0) | 2025.02.08 |
2025년 2월 6일 혼조세를 보인 뉴욕증시 (0) | 2025.02.07 |
트럼프 관세 정책과 원/달러 환율 (1) | 2025.02.04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금융시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5.02.03 |
2025년 1월 29일 미국 주식시장 주요 동향 (0) | 2025.01.30 |
2025년 1월 28일 미국 주식시장 주요 동향 (0) | 2025.01.29 |
뇌물로 유지되는 부끄러운 대한민국 경제 (0) | 2016.05.1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