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미국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한 데다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수 국가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영향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뉴욕증시 하락의 주요 원인과 그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뉴욕증시 주요 지수 현황
지난 7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는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444.23포인트(0.99%) 하락한 44,303.40으로 마감되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같은 기간 57.58포인트(0.95%) 하락해 6025.99를 기록했으며, 나스닥지수는 268.59포인트(1.36%) 급락해 19,523.4로 장을 마쳤습니다.
기대 인플레이션 급등의 영향
이번 주 시장의 민감한 반응은 미국 소비자들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 급등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올해 2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67.8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지난 1월의 확정치 71.1에서 4.6% 감소한 수치로, 시장 예상치인 71.1을 밑돌았습니다.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1년 기대 인플레이션입니다. 2월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3%로, 이는 전월의 3.3%에서 1%포인트 급등했습니다. 이는 2023년 11월 이후 최고치로, 2개월 연속 큰 폭으로 상승한 결과입니다. 미시간대의 조엔 후 디렉터는 "지난 14년간 1개월 사이에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1%포인트 이상 상승한 사례는 5번뿐"이라며, 현재 수치가 팬데믹 이전의 2.3~3.0%를 크게 상회한다고 분석했습니다.
트럼프의 상호 관세 발표
이와 더불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조치 발표는 지수를 더욱 압박했습니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다음 주 월요일이나 화요일에 상호 무역에 대해 회의 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미국으로 들어오는 수입품에 대해 수출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과 동일한 수준으로 세금을 매기겠다는 의미로 해석되었습니다.
주요 기술주 및 전통 산업주의 하락
트럼프의 상호 관세 발표 소식은 주요 기술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애플은 2.40% 하락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1.46% 내렸으며, 테슬라와 알파벳도 각각 3%대의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 아마존은 전날 발표된 실적이 호조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1분기 실적 전망치가 실망스럽다는 이유로 4.05% 밀렸습니다.
전통 산업주와 우량주 역시 상호 관세 부과 움직임으로 인해 투자 심리가 악화되었습니다. 다우지수 구성 종목 중 엔비디아와 비자, 코카콜라, 셰브론만이 강보합을 보였을 뿐 나머지 종목은 모두 하락했습니다.
업종별 변동 현황
업종별로 보면 모든 업종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임의 소비재 업종은 2.52% 급락하며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으며, 재료와 기술, 통신서비스 업종도 1%대 하락률을 나타냈습니다.
금리 및 변동성 지수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3월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은 마감 무렵 8.5%로 반영되었습니다. 이는 전날 마감 무렵의 16.0%에서 크게 감소한 수치입니다. 또한,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04포인트(6.71%) 상승한 16.54를 기록하며, 시장의 변동성이 커졌음을 나타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와 금리 인하 속도 지연 전망 속 NYSE 혼조세 (0) | 2025.02.12 |
---|---|
트럼프 관세 예고에도 뉴욕증시 상승, 철강ㆍAIㆍ가상자산 강세 (2) | 2025.02.11 |
엔화 강세와 한국 경제, 강달러 방어막 역할 (0) | 2025.02.10 |
미국의 보편 관세 도입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0) | 2025.02.09 |
2025년 2월 6일 혼조세를 보인 뉴욕증시 (0) | 2025.02.07 |
트럼프 관세 정책과 원/달러 환율 (1) | 2025.02.04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금융시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5.02.03 |
2025년 1월 29일 미국 주식시장 주요 동향 (0) | 2025.01.30 |
2025년 1월 28일 미국 주식시장 주요 동향 (0) | 2025.01.29 |
뇌물로 유지되는 부끄러운 대한민국 경제 (0) | 2016.05.1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