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SE 주요 지수의 변동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2025 2 11일 보합권에서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발표에도 차분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또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이하 연준) 의장의 신중한 통화정책 입장이 다시 한번 확인되며, 시장은 이를 무난하게 소화하였습니다.

 

11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3.24포인트(0.28%) 상승한 44,593.65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06포인트(0.03%) 오른 6,068.50, 나스닥종합지수는 70.41포인트(0.36%) 하락하여 19,643.86에 각각 마감했습니다.

 

2025년 2월 11일 세계 주요 증시 현황

 

파월 의장의 발언과 시장 반응

이날은 파월 의장의 발언이 주목받았습니다. 그는 미국 상원 은행, 주택 및 도시문제위원회에 출석하여 "정책 기조를 조정하는 데 서두를 필요가 없다" "경제는 여전히 강력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의 발언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이러한 안정적인 발언에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습니다.

 

파월 의장은 정책 조정의 속도에 대해 "너무 빨리 또는 너무 많이 줄이면 인플레이션 진전에 방해가 될 수 있고, 너무 느리거나 적게 줄이면 경제 활동과 고용이 지나치게 약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경제 상황을 고려한 균형 잡힌 입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는 3 12일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백악관과 달리 행정명령에 명시된 발효 시점이 다르다는 점에서 협상 기간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습니다. 유럽연합(EU)은 이에 대해 확고하고 비례적인 대응 조치를 취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업종 및 기업별 주가 변동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가 1% 이상 하락한 반면, 필수소비재는 1%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플랫폼스는 주가가 상승하며 17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역대 나스닥100지수를 구성하는 기업들 중 최장 연속 상승 기록입니다. 메타는 한국의 인공지능(AI)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인 퓨리오사AI의 인수를 추진 중이라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애플도 2.18% 상승했습니다. 이는 중국 아이폰 사용자를 위해 알리바바와 협력하여 인공지능 기능을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반면, 테슬라는 6.34% 급락했습니다. 이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오픈AI의 경영권을 확보하려는 적대적 인수 시도 소식에 따른 것으로, 머스크는 과거 트위터를 인수할 때도 테슬라 주식을 매도해 자금을 확보한 바 있어 시장에 대한 우려가 반영되었습니다.

 

인텔은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미국 반도체 기술을 보호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주가가 6% 이상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호텔체인 메리어트 인터내셔널은 주당순이익(EPS) 전망치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주가가 5.4% 하락했습니다.

 

향후 경제 지표와 시장 전망

투자자들은 12일에 발표될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13일에 발표될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 지표는 향후 경제 흐름과 증시 변동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CFRA 리서치의 샘 스토발 최고투자전략가는 "시장은 파월의 증언을 소화하면서 내일 CPI가 어떻게 나올지 기다리고 있다" "투자자들은 실적 성장세에 기반해 주가를 밀어 올릴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채권 금리와 투자 전략

채권 금리는 파월 의장의 신중한 금리 인하 방침을 재확인하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4bp(1bp=0.01%포인트) 올라 4.53%를 기록하였으며,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2bp 상승한 4.29%를 나타냈습니다. 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3월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은 4.5%로 낮아졌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