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의 주가가 약 한 달 동안의 상승세를 멈추었습니다. 2025년 2월 18일(현지시간), 메타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76% 하락한 716.37달러(약 103만3천363원)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이로써 지난달 17일부터 시작된 주가 상승세는 20거래일 만에 종료되었습니다. 이는 1985년 나스닥 100 지수 산출 이후 최장기간 상승 기록입니다.
메타 주가 동향
2025년 2월 18일 주가는 한때 4% 가까이 하락하여 706.44달러까지 떨어졌으나, 장 막판 일부 낙폭을 만회했습니다. 지난 20거래일 동안 메타 주가는 20.5% 상승하였으며, 지난해 말 대비로는 25.8% 상승했습니다. 특히, 이달 4일에는 처음으로 종가 기준 700달러선을 돌파하며 최고가를 갱신했습니다. 이러한 상승 배경에는 인공지능(AI) 기술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광고 타깃팅 기술 개선이 주효했습니다. 또한, 메타가 자체 AI 칩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뉴욕증시 전반
2025년 2월 18일 뉴욕 증시는 소폭 상승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08포인트(0.02%) 상승한 44,556.16에 마감했습니다. 나스닥 종합지수는 14.49포인트(0.07%) 올라 20,041.26에 거래를 마쳤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4.99포인트(0.25%) 상승하여 6,129.62에 종료하며 종가 기준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S&P 500지수는 장중 혼조세를 보이다가, 종가 기준으로는 지난달 23일 기록했던 최고가를 다시 갱신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S&P 500지수는 연휴로 짧아진 주의 시작과 함께 이전 기록 마감 최고치를 살짝 넘어섰다"며 실적 시즌의 막바지와 함께 지정학적 불확실성 및 연준 회의록 공개가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연준의 발언과 시장 반응
투자자들은 이날 공개된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도 주목했습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정책은 인플레이션의 진전이 계속 확인될 때까지 제약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고, 마이클 바 연준 금융감독 부의장은 AI 주가 거품 우려를 제기하며, AI 기술 투자에 따른 시장 조정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
향후 전망
향후 주요 이슈로는 19일 공개될 연준의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이 있습니다. 이는 향후 금리 경로와 연준 위원들의 경제 전망에 대한 힌트를 제공할 것입니다. 또한,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의 연설이 19일 예정되어 있으며 오스턴 굴즈비 시카고 연은 총재와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가 각각 20일에 발언할 예정입니다.
금리 및 국채 동향
예상 외로 상승한 인플레이션과 큰 폭으로 감소한 소매판매로 인해 투자자들은 연준이 당분간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따르면,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은 3월 금리 동결 가능성을 97.5%로 보고 있으며, 5월과 6월에는 각각 86.1%와 55.4%로 유지 예상하고 있습니다.
국채 금리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8bp 상승한 4.55%를 기록했습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4bp 상승하여 4.3%를 기록 중입니다. 유럽 정상들이 군비 지출을 확대할 전망에 따라 유럽 국채 금리가 상승하였고, 이 영향으로 미 국채 금리도 함께 상승하였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널드 트럼프 당선 이후 일론 머스크의 기업 가치 급등 (0) | 2025.02.20 |
---|---|
관세와 금리 인하 속도 지연 전망 속 NYSE 혼조세 (0) | 2025.02.12 |
트럼프 관세 예고에도 뉴욕증시 상승, 철강ㆍAIㆍ가상자산 강세 (2) | 2025.02.11 |
엔화 강세와 한국 경제, 강달러 방어막 역할 (0) | 2025.02.10 |
미국의 보편 관세 도입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0) | 2025.02.09 |
인플레이션 급등과 상호 관세 발표 영향으로 2025년 2월 7일 뉴욕증시 급락 (0) | 2025.02.08 |
2025년 2월 6일 혼조세를 보인 뉴욕증시 (0) | 2025.02.07 |
트럼프 관세 정책과 원/달러 환율 (1) | 2025.02.04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금융시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25.02.03 |
2025년 1월 29일 미국 주식시장 주요 동향 (0) | 2025.01.30 |
최근댓글